오늘도 부자로 가는 길
돈의 속성 경제용어 3번째 공부!
1. 기업공개
2. 기준금리
3. 기축통화
4. 기회비용
5. 낙수효과
6. 단기금융시장
7. 대외의존도
1.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최초로 외부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대주주 개인이나 가족들이 가지고 있던 주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팔아 분산을 시키고 기업경영을 공개하는 것이다.
기업공개는 기업에서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국민의 기업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진다. 이를 통하여, 기업은 주식가치의 공정한 결정, 세제상의 혜택, 자금조달능력의 증가,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및 소유분산 등의 혜택을 얻을 수 있다.
2. 기준금리(base rate)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에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부터 콜금리가 기준금리 역할을 해왔으나, 2008년 3월부터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 콜금리 등 단기시장금리가 즉시 상승
-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도 대체로 상승
- 예금이자 수입은 증가시키지만 대출이자가 늘어 저축 증가와 소비감소
- 실제 물가상승률은 하락
기준금리를 내릴 경우
- 시중은행 이자도 내려가 예금이자 수입이 줄어듦
- 경제주체의 투자와 소비가 늘어남
- 경제성장이 활성화되지만 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 현상 발생
-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수요 증가 자산가격 상승
2020년 이후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
3. 기축통화(key currency)
국제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가 이에 속한다.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의 발달로 외환신장 및 자본시장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
4. 기회비용(opportunity costs)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 자체 또는 그러한 기회가 갖는 가치를 말한다.
다양한 욕구들 가운데 하나를 고를 수 밖에 없을 때 포기해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이익 중 최선의 이익이 바로 기회비용다.
5.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소비 및 투자 확대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저소득층의 소득도 증가하게 되는 효과를 말한다.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적하효과'라고도 한다.
6. 단기금융시장(short-term money market)
단기금융시장은 만기가 1 이내인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이다. 주로 정부, 금융기관, 우량기업 등 자금거래 규모가 크고 신용도가 높은 거래자들이 일시적으로 현금이 부족하거나 과잉상태에 있을 때 자금 과부족을 조절하는 시장으로 자금 도매시장의 성격이 강하다.
단기금융시장이 발달 하면?
- 거래자들은 장래의 지출에 대비해 보유해야할 현금량을 줄일 수 있음.
- 단기라도 자금을 놀려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음.
- 유퓨자금의 보유에 따른 기회비용을 줄여줌
- 금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
7. 대외의존도
총공급(=총수요) 중 수입과 수출 등 대외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대외의존도 = [(수출+수입)/총공급(=총수요)]X100
대외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경제구조상 불안정요인이 크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으면 국제 경제에 의해 국내 경제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금융 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변동금리,보호무역주의,본원통화,부가가치,부채담보부증권(CDO),부채비율,분수효과] (0) | 2022.11.19 |
---|---|
경제용어 '돈의 속성' [매몰비용,명목금리, 무디스,물가지수,뮤추얼펀드,뱅크런,베블런효과] 경제용어 문맹탈출 (0) | 2022.11.17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3 [대체, 더블딥,디커플링,디플레이션,레버리지효과,만기수익률,마이크로 크리디트] (0) | 2022.11.15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공공재,공급탄력성,공매도,국가신용등급,국채,금본위제,금산분리] (0) | 2022.11.13 |
부자되기 '돈의 속성'의 경제 용어[가산금리,경기동향지수,경상수지,고정금리,고용률,고통지수,골드락스경제] (0) | 2022.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