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나는 부자 되겠다고 마음을 먹으며..
하루에 7개씩 잊지 않고 공부하기!
1. 공공재
2. 공급탄력성
3. 공매도
4. 국가신용등급
5. 국채
6. 금본위제
7. 금산분리
1. 공공재(public goods)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 재화와 서비스에 대하여 대가를 치르지 않더라도 소비 혜택에서 배재할 수 없는 성격을 지닌다.
이른바 사회간접자본이라고 하는 전기, 전화, 수도, 도로, 교육 등과 같은 것으로 그 생산에 대한 기여와는 상관없이 누구나 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2. 공급탄력성(elasticity of supply)
부동산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척도로,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것이다. (공급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공급의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상의 효과는 작으며, 반대로 탄력성이 적을수록 가격상승의 효과는 크다
3. 공매도(short stock selling)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사하는 매도 주문을 뜻한다.
4.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s)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채무상환능력을 평가한 지표를 말한다.
국가의 신용 등급은 외환보유액, 외채구조(장단기) 등 대외 부문의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5. 국채(national Debt)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이다.
채권은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하는 것으로 유가증권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발행하는 주체가 국가라면 국채, 회사가 발행하면 회사채, 법으로 정한 공공기간이 발행하면 특수채, 서울시, 경기도등의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면 지방채, 특수채 중 발행주체가 금융기관인 경우는 금융채라고 한다.
6. 금본위제(gold standard)
금본위제는 각국 통화가치를 금 무게 기준으로 고정시켜 놓은 통화시스템이다. 허나 금은 무겁기 때문에 결제수단으로는 불편하기때문에 국가의 면허를 받은 은행들이 금을 보유하고 은행권(지폐)를 발행하는데, 지폐 소지자는 언제라도 은행에 금으로 교환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7. 금산분리
금융자본인 은행과 산업자본인 기업 간의 결합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오늘도 적으며 공부하니 이해가 쉽게 되는군!
아직도 갈길이 멀지만 부자가 되는 첫 걸음이라 생각하며...
'금융 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변동금리,보호무역주의,본원통화,부가가치,부채담보부증권(CDO),부채비율,분수효과] (0) | 2022.11.19 |
---|---|
경제용어 '돈의 속성' [매몰비용,명목금리, 무디스,물가지수,뮤추얼펀드,뱅크런,베블런효과] 경제용어 문맹탈출 (0) | 2022.11.17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3 [대체, 더블딥,디커플링,디플레이션,레버리지효과,만기수익률,마이크로 크리디트] (0) | 2022.11.15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 3번째[기업공개,기준금리,기축통화,기회비용,낙수효과,단기금융시장,대외의존도] (0) | 2022.11.14 |
부자되기 '돈의 속성'의 경제 용어[가산금리,경기동향지수,경상수지,고정금리,고용률,고통지수,골드락스경제] (0) | 2022.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