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돈의 속성' 경제용어 문맹탈출 4번째 공부이닷
나도 잘 모르는 경제 용어를 검색하고 찾다보면 이해도 되고 관련 기사들도 찾아보게 되는데
나름 재미있다.
오늘도 열심히 달려보자!
1. 매몰비용
2. 명목금리
3. 무디스
4. 물가지수
5. 뮤추얼펀드
6. 뱅크런
7. 베블런효과
1. 매몰비용
매몰비용은 이미 발생하여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경제적 의사 결정에서 매몰 비용은 지나간 것으로 취급되어 투자를 계속 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되지 않는데, 어떻게 해도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므로 기회비용을 계산 할 때 매몰 비용은 제외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무원 시험으로 비유하자면 '공무원 시험을 치기까지 공부해온 시간'이 매몰 비용이 되며, '공무원 시험'은 비용으로 구매될 상품이 된다. 매몰 비용은 이미 소모된 것이기 때문에 이 때까지 공부한게 아까우니 시험을 포기 포기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집착하는 순간 이름 그대로 매몰 비용에 매몰되어버리는 것이다.
2. 명목금리
물가가 상승할 경우로 인해 시중 금리수준은 물가상승을 반명, 높게 결정되지만 금리의 실제 가치는 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명목금리는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이며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땐 금리가 실질금리이다.
은행의 예금금리가 3%, 물가상승률이 4%라면 명목금리는 3%, 실질금리는 -1%가 된다.
3. 무디스
미국의 신용평가회사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피치와 함꼐 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으로 불린다.
주로 다양한 유형의 자산, 기, 거래구조 등을 평가하고, 현재 세계 신용평가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다.
4. 물가지수
물가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이다. 기준이 되는 해(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하고, 그 후의 물가를 종합지수의 형태로 나타낸다.
물가지수는 다음과 같은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기준 년도의 물가지수가 100인 경우 비교시점의 물가지수가 110이면 물가가 10% 오른 것을 의미하며, 95라면 5% 내린 것을 의미한다.
5. 뮤추얼펀드
유가증권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회사로 주식발행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 전문적인 운용회사에 맡겨 그 운용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되돌려 주는 투자회사를 말한다. 즉 투자자가 수익자이자 주주가 되는 형식이다.
6. 뱅크런
경제상황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금 불능 상태를 위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를 말한다. 예금자들의 은행에 대한 신뢰 상실로 경제상황 악화, 은행 경영 부실 등으로 예금자들이 자신들이 맡겨놓은 자금 보전에 불안을 느끼면 은행으로 예금인출을 위해 몰려들어 발생하게 된다.
7. 베블런효과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이다. 이는 주로 충분한 부를 가진 상류층 소비자로부터 나타난다. 그들은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자신의 계층을 과시하기 위해서 값비싼 물건을 소비한다.
오늘도 아~ 를 반복하며 공부 끝!
'금융 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빅맥지수,상장지수펀(EFT),서킷브레이커,선물거래,소득주도성장,수요탄력성,스왑] (0) | 2022.11.21 |
---|---|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변동금리,보호무역주의,본원통화,부가가치,부채담보부증권(CDO),부채비율,분수효과] (0) | 2022.11.19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3 [대체, 더블딥,디커플링,디플레이션,레버리지효과,만기수익률,마이크로 크리디트] (0) | 2022.11.15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 3번째[기업공개,기준금리,기축통화,기회비용,낙수효과,단기금융시장,대외의존도] (0) | 2022.11.14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공공재,공급탄력성,공매도,국가신용등급,국채,금본위제,금산분리] (0)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