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주식 경제

부자되기 '돈의 속성'의 경제 용어[가산금리,경기동향지수,경상수지,고정금리,고용률,고통지수,골드락스경제]

by 부자박씨 2022. 11. 12.
반응형

 

2022년 11월.. 2달채 남지 않은 40살에 부자기 되기로 결심했다! 워렌 버핏도 65세에 진정한 부자가 되었다는데

지금 해도 늦지 않았음을 깨닫고 시작해보려고 한다.

 

처음 내가 고른 책은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 속성'

나도 보니 금융 문맹ㅠ 금융 문맹 벗어나 부자가 되어보려한다. 하루에 7개씩 꾸준히 꾸준히 공부하자!

 

1. 가산금리

2. 경기동향지수

3. 경상수지

4. 고용률

5. 고정금리

6. 고통지수

7. 골디락스경제

 

 

1. 가산금리

금융 기관에서 대출, 채권 따위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 금리에 덧붙이는 금리이다.

 

기존 금리 + 시장의 유동성 상황, 개인의 신용도 등의 여러가지 요인들의 차이에 따라서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금리를 이야기 한다.  은행은 고객의 신용도에 따라서 대출시 금리를 정할때 차등적으로 덧붙여지는 금리이며,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가 높다.

 

2. 경기동향지수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한다.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분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

 

예) 10개의 대표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방향으로 움직인다면 : 경기확산지수 70%

      경기동향지수가 기준선인 50보다 크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작으면 수축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3. 경상수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경제발전 및 정책 변화의 효과를 츨정하거나 전망하는데 널리 용되고 있다.

 

4. 고용율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반면,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X 100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X 100

 

5. 고정금리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말한다. 

반면 변동금리는 일정 주기별로 시장 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말한다.

 

6. 고통지수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말한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서 한 날의 국민의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한다.

 

7. 골드락스경제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를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의 상태 경제를 말한다.

 

영국의 전래동화 '골드락스와 곰 세마리'에서 유래된 단어인데, 동화에서 엄마 곰이 뜨거운 스프를 큰 접시와 중간접시, 작은 접시에 담은 후 이를 식히기 위해 가족들은 산책을 나간다. 이때 들어온 골디락스라는 소녀가 아기곰 접시에 있는 적당한 온도의 스프를 먹으며 기뻐하는 것을 경제에 빗대어 생긴 단어라고 한다.

 

 

이렇게 적으며 이해가 되고 공부가 된다.

즐겁게 공부 할 수 있어서 좋다!

내일도 7개의 경제용어를 공부해보려고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