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 3번째[기업공개,기준금리,기축통화,기회비용,낙수효과,단기금융시장,대외의존도]
오늘도 부자로 가는 길 돈의 속성 경제용어 3번째 공부! 1. 기업공개 2. 기준금리 3. 기축통화 4. 기회비용 5. 낙수효과 6. 단기금융시장 7. 대외의존도 1.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최초로 외부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대주주 개인이나 가족들이 가지고 있던 주식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팔아 분산을 시키고 기업경영을 공개하는 것이다. 기업공개는 기업에서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국민의 기업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진다. 이를 통하여, 기업은 주식가치의 공정한 결정, 세제상의 혜택, 자금조달능력의 증가,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및 소유분산 등의 혜택을 얻을 수 있다. ..
2022. 11. 14.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공공재,공급탄력성,공매도,국가신용등급,국채,금본위제,금산분리]
오늘도 나는 부자 되겠다고 마음을 먹으며.. 하루에 7개씩 잊지 않고 공부하기! 1. 공공재 2. 공급탄력성 3. 공매도 4. 국가신용등급 5. 국채 6. 금본위제 7. 금산분리 1. 공공재(public goods)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 재화와 서비스에 대하여 대가를 치르지 않더라도 소비 혜택에서 배재할 수 없는 성격을 지닌다. 이른바 사회간접자본이라고 하는 전기, 전화, 수도, 도로, 교육 등과 같은 것으로 그 생산에 대한 기여와는 상관없이 누구나 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2. 공급탄력성(elasticity of supply) 부동산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척도로,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것이다. (공급탄력성 = ..
2022.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