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계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를 시작하면서 새로 도입이 되거나 바뀌는 것들이 뭐가 있을까?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만 나이
2022년 부터 가장 이슈가 됐던 내용이 아닐까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만 있는 대한민국나이가 사라지고 전 세계 공통으로 사용 되는 만 나이가 2023년 6월 28일 부터 우리에게도 적용됩니다. 태어나자마자 한 살 이었는데, 이제 0부터 시작하여, 달로 표현하고 생일이 1년이 지나야 한 살이 됩니다.
내 나이를 알고 싶으시다면 만 나이 계산기를 이용 해 보세요.
만 나이 : 네이버 통합검색
'만 나이'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부모급여 도입
정부에서는 부모급여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그에 따른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아이들을 키우지만 경제적인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부모들을 고려하여 현금성 지원을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만 0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월 70만 원, 만 1세는 월 35만 원을 받게 됩니다. 2024년에는 더 상향되어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3 | 2024 | |
만 0세 | 월 70만 원 | 월 100만 원 |
만 1세 | 월 35만 원 | 월 50만 원 |
만약 아이가 어린이집을 가게 된다면, 받아야 할 금액에서 월 보육료를 차감하여 받게 되는데 보육료는 월 50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월 20만 원이 됩니다. 또한 부모급여 육아휴직 중복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정부는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였는데요, 일시적(1년)으로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가 소득에 관계없이 주택 가격이 9억 원 이하라면 최대 5억 원까지 한도를 받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다주택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상품 | 현행 | 개편 | ||
우대형 안심 (일반형, 당초계획) |
보금자리론 | 저격대출 | 특례보금자리론 | |
주택가격 | 6억 원 (9억 원 잠정) |
6억 원 | 9억 원 | 9억 원 |
대출한도 | 3.6억 원 (5억 원 잠정) |
3.6억 원 | 5억 원 | 5억 원 |
소득한도 | 1억 원 (없음 잠정) |
7천만 원 | 없음 | 없음 |
금리 | 3.8~4.0% (보금금리 -10bp잠정) |
4.25~4.55% | 4.55~6.91% | 단일금리 산정체계 (+우대금리 적용) |
주택가격 한도가 상향되어 조건이 좋을 수도 있지만, 다소 부담스러울 수도 있을 수 있는 정책이니 잘 따져보고 시행하시길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플러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마일리지 혜택을 늘리는 정책인데요,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저소득층(차상위계창, 기초생활수급자)과 청년층(만 19세~만 34세)에 대해 혜택이 대폭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우리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밑에 링크로 꼼꼼하게 확인 후
알뜰교통카드 신청 : 네이버 통합검색
'알뜰교통카드 신청'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신청 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간제 보육과 아이돌봄서비스도 확대
보육정책 강화를 위해 시간제 보육과 아이돌봄서비스도 확대 됩니다. 어린이집 기존 반에 시간제 보육을 통합반을 신규로 도입하고 기존의 독립반이 아닌 기존반에 통합되어 운영시켜 확대를 할 예정입니다. 아이돌봄서비스도 기존 일 3시간 30분에서 4시간으로 증가되며(연간 720시간에서 840시간), 7만 5천가구에서 8만 5천 가구로 확대 적용된다고 합니다.
통합형 시간제보육 이용대상은 6개월~36개월 미만 영유아이며, 월 단위로 최대 80시간까지 정부지원이 되고, 시범기간동안은 시간당 천 원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전에 포스팅한 내역이지만 다시 한 번 정보를 드리자면, 청년들을 위해 만든 상품으로 만 19세~ 만 34세 중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만이 가입이 됩니다. 청년들은 계좌에 매월 40만 원~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에 비례해 최대 6%의 기여금을 지급하고, 은행의 우대금리와 비과세 혜택까지 얹어져 5년 만기시 5천만 원 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입니다.
무순위 청약 거주지역 요건 폐지
해당지역에 살지 않아도 무순위청약이 가능해집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늘고 있는 미분양주택으로 정부가 이런저런 완화 정책들을 내놓고 있는데요, 현재는 부동산의 분위기가 예전같지 않아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https://www.molit.go.kr/portal.do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 싶으시다면 국토부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국토교통부
www.molit.go.kr
오늘 새해에 바뀌고, 새로 생기는 정부 정책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참조 하셔서 도움이 되시는 정보를 꼭 얻어가시길 바라겠습니다.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생활정보 > 이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방법 1년간 매달 최대 20만원 (0) | 2023.01.10 |
---|---|
계묘년 새해 인사 모음 (0) | 2023.01.01 |
2023년 근로&자녀장려금 늦지 않게 신청하세요 (0) | 2022.12.30 |
재벌집 막내아들 충격적인 결말 (0) | 2022.12.26 |
코로나 생활 지원금 신청하기 (0) | 2022.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