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는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와 주절에 조건을 다는 경우가 있어요. 목적어로 쓰일 때는 '~인지 아닌지를'이란 뜻으로 해석할 수 있고, 조건을 달 때는 '~라면, ~인 경우'로 이해하면 돼요. 만약 '~이면, ~인 경우'로 해석될 때 염두에 둘 점은 if절 내용이 과거나 현재 일일 때는 동사도 그에 맞추어 주지만 미래만은 if절의 동사를 미래가 아닌 현재 시제로 쓴다는 점이랍니다.
1. if절이 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는 '~인지, 아닌지'의 의미를 갖는다.
보통 시험을 보거나 문제를 풀다 보면 내가 정답을 쓴 건지 아닌지 고민할 때가 있죠? 이 처럼 '~인지, 아닌지?'란 의미를 가질 때 if를 쓸 수 있어요. 물론 if만 쓴다고 이 뜻이 되는 건 아니죠. if에 주어와 동사가 붙어 절의 형태를 갖춰야 하고, 그 if절이 동사의 목적어로 쓰여야 합니다. 한 가지 더 기억해야 할 점은 목적어인 if절이 모든 동사와 다 어울리는 건 아니랍니다. if절과 함께 쓰일 수 있는 동사는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와 잘 부합되는 타동사들이랍니다.
ex) I don't know if my answer is correct. 내 답이 맞는지(아닌지) 모르겠어. -> if절이 know의 목적어.
Let's see if I can help you. 내가 도움이 될 수 있는지(아닌지) 보자 -> if절이 see의 목적어.
He was lying if he said so. (X) 걔가 그렇게 마했는지 아닌지를 거짓말하고 있었다? -> 문장은 맞지만 틀린 해석. lie는 거짓말한다는 의미의 자동사 ~인지 아닌지'의 의미와 안 어울림.
2. '~인지 아닌지'의 if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whether.
~'인지 아닌지'란 뜻으로 if 대신 whether가 올 수도 있어요. whether는 혼자 쓸 수도 있고 or not이 따라오거나 'A인지 B인지'라는 뜻으로 whether A or B로도 쓰일 수 있답니다.
ex) They will meet to decide whether they will go on strike(or not.) 파업에 들어갈지 말지를 결정하기 위해 만날 것이다.
I don't know whether it's better to exercise in the morning or in the evening. 운동을 아침에 하는 게 더 좋은지 저녁에 하는 게 더 좋은지 모르겠네.
if와 다른 점은 whether절은 동사의 목적어뿐 아니라 주어로도 쓰일 수 있단 것입니다.'~인지 아닌지가 어찌어찌하다'는 말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까요.
ex) Whether it's true is not important.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아.
3. '일 경우엔', '만약~라면' 조건을 거는 if절
if 절은 '~일 경우'엔, '만약~라면'처럼 주절에 조건을 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이때는 목적어로 쓰일 때와 달리 주절의 앞이나 뒤 아무 데나 올 수 있어요.
ex) You'll understand me if you can read my mind. 만약 내 마음을 읽을 수만 있다면 넌 날 이해할 거야.
-> If you can read my mind, you'll understand me.
이때, if절의 내용이 현재시제가 어울리면 현재로, 과거 시제가 어울리면 과거로 쓰면 됩니다.
If you eat too much, you get sick. 과식한다면 탈 나.
If he said so, he was lying. 그렇게 말했다면, 거짓말한 거야.
If you didn't do homework yesterday, you may find it difficult to follow today's lecture. 어제 숙제를 안 했다면, 너는 오늘 강의를 따라가기 힘들지도 몰라.
4. 어떻게 될지 모르는 미래의 일이면 if 절을 현재시제로 써야 한다.
조심할 것은, 아직 확실치 않은 미래를 조건으로 달 때만큼은 아무리 먼 미래라도 if절에 미래가 아닌 현재시제를 쓴다는 거예요. 시간의 부사절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지요( When he finishes if, I'll buy him dinner.처럼 시간에 관련된 부사절에선 미래의 의미라도 현재로 쓴다는 것.) 이때 if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주절엔 정상적으로 미래 시제를 쓸 수 있는데, 꼭 will이 아니어도 미래와 어일리는 의미이면 다른 표현도 쓸 수 있습니다.
If the stock market collapses, what will happen to the investors?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투자자들은 어떻게 될까?
If he doesn't show up, I'm going to kill him. 안 나타나기면 해봐, 가만 두나
If you ask him, he may help you. 부탁하면 도와줄지도 몰라
I might go if it doesn't rain. 혹시 갈지도 몰라 비 안 오면.
오늘은 if에 대해서 공부를 해 보았는데, 보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라이팅훈련 직접화법을 간접화법으로 고치기 (0) | 2022.12.25 |
---|---|
영어 공부 반복학습 유글리쉬 (0) | 2022.11.30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용법, 제한적용법[라이팅훈련] (0) | 2022.11.23 |
형용사절을 형용사구로 바꾸기 (0) | 2022.11.21 |
2. the thing that = what (관계대명사 what) (0)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