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금리가 계속 인상되면서 연 10% 금리 청년희망적금을 넣고 있던 청년들이 시중은행 고금리 예적금 상품으로 갈아타는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어요. 이유는 예치 기간이 24개월과 월 납입액 부담을 느껴 지난 3월 초 가입자는 286만 8,000명으로 이중 약 6%에 해당하는 167,000명이 가입 3개월 이내에 중도 해지한 것으로 알려졌답니다. 만기시 연 10.49% 이율을 제공함에도 말이죠!
2023년 청년도약계좌는 현 정부 핵심 공약으로 내년 한반기에 시행하기 위해 대규모 예산을 편성할 예정에 있답니다. 이에 따라 청년 306만 명이 5년간 만기로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2023년 청년도약계좌
5,000만 원 통장에 5년만기
- 만 19세~34세 청년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혜택
- 계좌 만기 5년, 월 납입액 40~70만 원
- 정부의 기여금 6%
금리는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형태로 만기인 5년 뒤에는 최대 약 5,000만 원의 목돈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신청은 2023년 6월 이전에 가능할 거라고 합니다.
'금융 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되기]매달 배당 주는 'SOL 미국S&P500' ETF 신한자산운용 (0) | 2022.11.27 |
---|---|
부자되기 '돈의 속성' 경제용어[스톡옵션, 시뇨리지,신용경색,신주인수권부사채(BW),실질임금, 애그플레이션,양도성예금증서] (0) | 2022.11.23 |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빅맥지수,상장지수펀(EFT),서킷브레이커,선물거래,소득주도성장,수요탄력성,스왑] (0) | 2022.11.21 |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변동금리,보호무역주의,본원통화,부가가치,부채담보부증권(CDO),부채비율,분수효과] (0) | 2022.11.19 |
경제용어 '돈의 속성' [매몰비용,명목금리, 무디스,물가지수,뮤추얼펀드,뱅크런,베블런효과] 경제용어 문맹탈출 (0)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