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사칙연산을 배우는 것이 시작이. 사칙연산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구구단을 외운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도 알파벳을 알아야한다. -'부의 속성' 김승호-
내 나이 불혹이 되니 부자가 되고 싶어졌다. 블로그를 찾아봐도 유투브에 성공한 사람들을 봐도 책을 가까이하라고 한다. 먼저 부자의 길을 간 사람들의 이야기. 그래서 나도 생각했다. 그들의 길을 따라가보리다. 오늘도 경제 7용어를 공부해보려한다.
1. 스톡옵션
2. 세뇨리지
3. 신용경색
4. 신주인수권부사채(BW)
5. 실질임금
6. 애그플레이션
7. 양도성예금증서
1. 스톡옵션
기업이 임직원에게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도 일정수량의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게 권한을 주어 영업이익 확대나 상장 등으로 주식값이 오르면 그 차익을 볼 수 있게 하는 보상제로를 말한다. '주식매수 선택권'이라고도 한다. 채용 당시 많은 임금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사업성이 높은 벤처기업의 경우 인재를 모을 때 많이 사용하는 제도이다.
2. 세뇨리지
기축통화국, 곧 국제통화를 보유한 나라가 누리는 경제적 이익을 말한다. 즉, 화폐를 발행하면 교환가치에서 발행비용을 뺀 만큼의 이익(화폐주조 이익)이 생기는데 그 중에서도 기축통화국, 곧 국제통화르 보유한 국가가 누리는 이익을 일컫는다. 프랑스어로 시뇨리지(Seigniorage)라고도 한다.
3. 신용경색
금융기관이 미래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 돈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아 기업들이 자금난을 겪는 현상이다. 신용경색이 나타나면 기업들은 자금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금융기관에도 '신용이 실종' 되면서 공급되는 자금의 절대량이 줄어들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4.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회사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사채권자는 보통 사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이자를 받으면서 만기에 사채금액을 상황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자신에게 부여된 신주인수권을 가지고 주식시가가 발행가액보다 높은 경우 회사측에 신주의 발행을 청구할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발행형태에 따라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는 분리형과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결합해서만 양도할 수 있는 비분리형으로 구분된다.
5. 실질임금
실질임금이란 물가상승 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임금 즉 실질적인 구매력으로 나타낸 임금으로서 명목입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 실질임금 =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X100]. 노동자의 생활수준은 실질임금에 의하여 좌우된다. 따라서 임금은 일정한데 물가가 오르면 실질 임금은 감소하지만 명목 임금은 변하지 않는다.
6. 애그플레이션
농업을 뜻하는 '애그리철쳐(agriculture)' 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영향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곡물가격이 상상하는 요인으로는 지구 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인한 공급 감소, 육류 소비증가에 따른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 경작지 감소, 유가 급등으로 인한 생산 및 유통 비용 증가, 곡물을 이용한 대체연료 활성화, 식량의 자원화, 투기자본의 유입 등을 꼽을 수 있다.
7. 양도성예금증서
은행이 발행하고 금융시장에서 자유로운 매매가 가능한 무기명의 정기예금증서를 뜻한다. 양도성 정기예금증서는 은행의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것으로, 은행이 발행하고 증권회사와 종합금융회사의 중개를 통해 매매된다. 예금통장과는 달리 통장에 이름을 쓰지 않는 무기명이며, 중도해지는 불가능하나 양도가 자유로워 현금화가 용이한 유동성이 높은 상품이다.
'금융 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청년도약계좌 5년동안 5,000만 원 목돈 만들기 (0) | 2022.12.09 |
---|---|
[부자되기]매달 배당 주는 'SOL 미국S&P500' ETF 신한자산운용 (0) | 2022.11.27 |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빅맥지수,상장지수펀(EFT),서킷브레이커,선물거래,소득주도성장,수요탄력성,스왑] (0) | 2022.11.21 |
경제 용어 '돈의 속성' [변동금리,보호무역주의,본원통화,부가가치,부채담보부증권(CDO),부채비율,분수효과] (0) | 2022.11.19 |
경제용어 '돈의 속성' [매몰비용,명목금리, 무디스,물가지수,뮤추얼펀드,뱅크런,베블런효과] 경제용어 문맹탈출 (0) | 2022.11.17 |
댓글